본문 바로가기
  • 면역기반 건강설계

분류 전체보기77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 희망의 약에서 비극의 발암물질로 밝혀지기까지의 기록 프롤로그: 희망의 약, 비극의 씨앗1938년, 런던에서 인류 최초의 비스테로이드성 합성 에스트로겐인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DES)이 합성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약물은 당시 의학계에 혁신적인 기대를 안겨주었습니다. 특히, 임신 중 유산이나 조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적의 약"으로 여겨지며, 심지어 "모든 임신에 대한 일상적인 예방"으로까지 권장되기도 했습니다.DES는 1940년대 초부터 1971년까지 미국에서 임산부에게 광범위하게 처방되었습니다. 알약, 주사, 좌약, 크림 등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미국에서만 약 500만에서 1000만 명에 달하는 임산부와 그 자녀들이 DES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947년 유산 방지 목.. 2025. 8. 6.
B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과 블룸버그 박사의 연구 여정 1960년대 초반, 미국의 의학자 바루크 S. 블룸버그(Baruch S. Blumberg) 박사는 인류집단 간 질병 민감성의 유전적 차이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는 다양한 인구 집단의 혈청 샘플을 수집하고자 세계 여러 지역을 다녔으며, 이 과정에서 혈액은행과 협력하여 다량의 수혈을 받은 혈우병 환자들의 혈청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블룸버그 박사는 다회 수혈로 인해 환자들의 체내에 자신이 유전적으로 가지지 않은 외래 단백질(항원)이 축적되었을 것이라고 가정했습니다. 즉 혈우병 환자들이 생산한 항체를 이용해, 전 세계 혈청 샘플 속에서 이 항원들과 대응하는 항체 반응을 탐색하기로 한 것입니다.이러한 탐구 중 뜻밖의 발견이 있었습니다. 1963년경 뉴욕의 혈우병 환자 혈청을 검사하던 연구팀은 실험 패널 .. 2025. 8. 5.
로베르트 코흐와 결핵: 백신 개발의 역사와 투베르쿨린 반응 서론: 결핵과의 전쟁결핵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로, 19세기에는 "백색의 사신"으로 불리며 수많은 생명을 앗아갔습니다. 당시 의학계는 결핵의 원인을 알지 못했고, 치료법도 미비했습니다. 이 암울한 시기에 로베르트 코흐(Robert Koch)는 결핵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법을 찾기 위해 헌신한 과학자였습니다. 그의 연구는 결핵과의 싸움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었지만, 성공과 실패가 공존하는 드라마틱한 여정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코흐의 결핵백신 개발 역사, 그 실패, 그리고 투베르쿨린 반응과 면역 메커니즘을 다큐멘터리 스타일로 풀어냅니다.1. 로베르트 코흐: 세균학의 선구자1843년 독일 클라우스탈에서 태어난 로베르트 코흐는 의학을 공부하며 세균과 질병의 관계에 매료되었습니다. 그는 1.. 2025. 8. 4.
루이 파스퇴르의 탄저병ㆍ광견병 백신 개발 19세기 후반의 프랑스와 유럽은 콜레라, 홍역, 발진티푸스, 매독, 탄저병, 광견병 등 다양한 전염병이 주기적으로 유행하면서 큰 사회적 공포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당시에는 에드워드 제너가 1796년에 발견한 천연두 백신(牛痘 기반)만이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그 외의 감염병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수단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루이 파스퇴르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병원성을 약화시키는 ‘약독화(attenuation)’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여러 병원체에 적용하여 백신을 개발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는 1879년에 닭 콜레라 백신을 개발한 데 이어, 1881년에는 탄저병 백신을, 1885년에는 광견병 백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예방의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탄저병 백신 개발탄저병(Baci.. 2025. 8. 3.
시드니 파버와 엽산 기반 소아 백혈병 치료의 탄생 아마 많은 사람들이 메토트렉세이트 라는 약을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 약은 암 치료제로 개발되었지만, 지금은 자가면역질환(예: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건선, 염증성 장질환, 그리고 자궁외임신 같은 여러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 약이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MTX가 류마티스 치료제로 사용되는데, 아직도 그 작용기전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1940년대 후반, 백혈병은 치명적인 어린이 암으로 꼽혔습니다. 수년 전 발견된 백혈병은 급속히 진행되어 진단 후 몇 달 안에 사망에 이르는 불치병이었습니다. 전시(戰時) 동안 빈혈 치료에 쓰이던 비타민 연구가 활발했지만, 백혈병만큼은 그야말로 암담한 상태였습니다. 당시 보스턴 어린이병원의 병리과 과장이던 시드니 파버(Sidney Fa.. 2025. 8. 2.
백혈병은 처음에 어떻게 발견되고 누가 명명했을까? 19세기 중반 유럽 의학계에서 현미경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발견된 백혈병은 현대 혈액학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1845년 존 휴즈 베넷과 루돌프 피르호의 독립적 발견을 통해 시작된 백혈병 연구는 세포병리학 확립과 현대 의학 용어 체계 구축에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피르호의 "leukämie" 명명과 세포병리학적 접근은 질병 이해의 패러다임을 장기 중심에서 세포 중심으로 전환시켰습니다. 이 발견은 단순한 새로운 질병의 명명을 넘어 현대 의학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한 의학사적 전환점이었습니다.백혈병 발견의 시대적 배경과 최초 사례들19세기 중반 유럽 의학계의 혁신1840년대 유럽 의학계는 현미경 기술의 혁명적 발전을 경험하고 있었습니다. 파리 의학교가 세계 의학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해부학적 병리학을 선.. 2025.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