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제2 염증 조절의 핵심, 혈중 LPS의 농도를 낮추는 법 만성염증의 조절의 핵심은 만성염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인 LPS를 줄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LPS를 줄이는 방법은 대체로 좋은 식단과 라이프스타일과 일치합니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들의 좋은 식단과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1. 장내 LPS 유입을 막는다LPS는 장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지만, 장벽을 넘어 혈액으로 들어오는 것이 문제입니다.1-1. 장내 미생물 균형 조절식이섬유: 이눌린, 귀리 β-glucan, 차전자피 등은 유익균의 먹이가 되어 LPS 생성균의 과증식을 억제합니다.프리바이오틱스 & 프로바이오틱스: 특히 Bifidobacterium은 장내 염증을 억제하고 LPS 흡수를 감소시킨다는 연구가 있습니다.이것은 좋은 식단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즉 풍부한 식이섬유와 좋은 프로바이오틱스는.. 2025. 9. 6. 하버드 식단 vs. USDA 식단 – USDA가 맞다고 본다 들어가며: 두 개의 접시, 두 개의 철학2011년, 미국 농무부(USDA)는 기존의 식품 피라미드를 폐지하고 간단한 시각 도식인 "마이플레이트(MyPlate)"를 도입하였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원은 "건강한 식사 접시(Healthy Eating Plate)"를 발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인 식단 기준을 제시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두 지침 모두 접시를 시각화하여 건강한 식사의 기준을 제시하지만, 철학적 접근과 현실 적용 가능성에 있어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특히 하버드 식단이 과학적 권위를 앞세우지만, 현실적으로 실천이 어렵고 과학적 불확실성을 과도하게 확대 해석하고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합니다. 또한, 하버드의 식단 권고가 '과학적으로 중립적'이라는.. 2025. 8.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