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면역기반 건강설계

분류 전체보기77

당신이 설탕을 끊지 못하는 건 당신 탓이 아닐 수 있다 요즘 “설탕 중독”이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설탕을 먹지 않겠다고 다짐해놓고, 어느새 단 음료를 들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때마다, 우리는 자신을 탓합니다. "왜 난 이렇게 의지가 약하지?" 하지만, 정말 그게 전부일까요?실은, 당신의 혀가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좀 더 정확히 말하면, 당신의 단맛 감각이 남들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단맛을 잘 못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단맛을 얼마나 민감하게 느끼는지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마치 어떤 사람은 향수 한 방울에도 머리가 아픈데, 또 어떤 사람은 진한 향을 좋아하는 것처럼요. 과학자들은 '단맛 민감도(sweet taste sensitivity)'라는 개념으로 이 차이를 설명합니다.연구에 따르면, 단맛을 잘 못 느끼는 사람들은 같은 음식에서도 덜 달게 느낍니다. 그래.. 2025. 8. 23.
후생유전학은 어떻게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는가? 후생유전학(Epigenetics)은 원래 세포생물학과 분자유전학의 전문 영역에서 사용되던 개념입니다. DNA 염기서열이 변하지 않아도특정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된다는 사실은 20세기 중반부터 학계에서 부분적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일반 대중에게는 비교적 생소한 주제였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이 개념은 단순한 학문을 넘어 건강, 심리, 교육, 사회문화 전반을 관통하는 하나의 '문화적 키워드'로 자리잡게 됩니다. 그렇다면 후생유전학은 어떻게 과학자의 실험실을 떠나 대중의 언어로 확산되었을까요?1. 시각적으로 강렬한 동물실험: 임신한 쥐의 식이와 새끼의 털 색 변화2003년, 미국 듀크대학교의 랜디 저틀(Randy Jirtle)와 로버트 워터랜드(Robert Waterland) 연구팀은 후생유전학의 개.. 2025. 8. 22.
작은 그릇으로 음식을 담으면 살이 빠질까? 거짓말 [브라이언 완싱크(Brian Wansink)]는 한때 음식 섭취와 환경적 요인을 연구하는 혁신적인 학자로 주목받았습니다. 그의 연구는 대중에게 다이어트와 식습관 개선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으며, 그의 저서 『나는 왜 과식하는가(Mindless Eating)』는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책은 국내에서도 번역이 되어 ["나는 왜 과식하는가?"]라는 책으로 번역되었고, 그의 다음 저서인 Slim By Design은 국내에서 [슬림 디자인]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완싱크의 주장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음식을 큰 그릇에 담으면 더 살찌기 쉽다는 것입니다. 사실 그의 주장은 영양학과 다이어트에 대해서 조금만 알면 매우 이상한 결론이라는 것을 알았을 것 같은데, 참 세상은 단순합니다. .. 2025. 8. 21.
소비되는 산소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 무엇을 먹었는지 알 수 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이 ‘숨쉬는 방식’을 바꾼다고?사람이 쉬지 않고 하는 일 중 하나가 ‘숨쉬기’입니다. 그런데 이 호흡이 우리가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바뀐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이런 사실은 과학자들이 호흡률(Respiratory Quotient, RQ)이라는 지표를 통해 알아냈습니다.RQ란 무엇일까요?RQ는 아래와 같은 비율로 계산됩니다.RQ=몸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양 (CO₂) / 몸에서 쓰인 산소 양 (O₂)​이 비율을 보면 몸이 어떤 연료(기질)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탄수화물을 태울 때의 RQ탄수화물은 ‘깨끗하게’ 타는 연료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탄수화물인 포도당(C₆H₁₂O₆)이 연소되는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탄산소 6분자를 쓰고이산화탄소 6분자가 나옵니다. 그래서 .. 2025. 8. 20.
카본블랙, PAH, 중금속… 디젤 엔진이 뿜는 독성 물질의 실체 디젤 배출물과 초미세먼지의 주요 성분디젤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는 수백 가지 물질로 이루어진 복합 혼합물입니다. 특히 디젤 배출물의 입자상 물질(Diesel Particulate Matter, DPM)은 카본블랙 중심에 각종 유기 화합물이 응축된 형태로 존재합니다. 참고로 카본블랙(Carbon Black)은 탄소(Carbon)로 이루어진 미세한 입자 형태의 분말로, 주로 불완전 연소 또는 열분해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물질입니다. 주로 산업용으로 활용되니다. 이 카본블랙은 생체내에서는 분해되기 어렵습니다. 이 카본블랙에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와 니트로-PAH 같은 발암성 유기물질들이 다량 흡착되어 있으며, 미량의 황산염(sulfate), 질산염(nitrate), 금속 등 무기 성분도 포함됩니다. 이.. 2025. 8. 19.
NuSI, 4천만 달러짜리 영양과학의 실패 우선 이 프로젝트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우리나라에서 질병해방으로 유명한 피터 아티아와, 케토제닉이 답이다, 왜 우리는 살찌는가? 설탕을 고발한다. 등으로 유명한 게리 타우브스가 시작한 프로젝트였습니다. 피터 아티아는 장수의학으로 잘 알려진 사람이고 케리 타우브스는 저탄고지 식단이나 케토 식단의 옹호자이죠. 이 두 사람은 특이하게 모두 공학이나 물리학 전공을 했던 사람입니다. 그래서 생각이 비슷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피터 아티아는 정말 진지한 의사이고 개리 타우브스는 저널리즘을 공부한 사람입니다. 이런 사람들의 특징이 세상을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통일장 이론 같은 것이죠. 그래서 대체로 생물학적인 세계를 지.. 2025.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