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면역기반 건강설계

생활면역56

시드니 파버와 엽산 기반 소아 백혈병 치료의 탄생 아마 많은 사람들이 메토트렉세이트 라는 약을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 약은 암 치료제로 개발되었지만, 지금은 자가면역질환(예: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건선, 염증성 장질환, 그리고 자궁외임신 같은 여러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 약이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MTX가 류마티스 치료제로 사용되는데, 아직도 그 작용기전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1940년대 후반, 백혈병은 치명적인 어린이 암으로 꼽혔습니다. 수년 전 발견된 백혈병은 급속히 진행되어 진단 후 몇 달 안에 사망에 이르는 불치병이었습니다. 전시(戰時) 동안 빈혈 치료에 쓰이던 비타민 연구가 활발했지만, 백혈병만큼은 그야말로 암담한 상태였습니다. 당시 보스턴 어린이병원의 병리과 과장이던 시드니 파버(Sidney Fa.. 2025. 8. 2.
메치니코프가 대식세포를 처음 발견한 이야기 메치니코프가 대식세포를 발견하게 된 인터넷의 이야기를 읽어보면 도대체 문장이 전반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아서, 가장 자세하게 언급된 책을 찾아서 정리했습니다. 매치니코프가 대식세포를 발견한 과정 가족이 메시나(Messina)에 머문 지 약 석 달쯤 되었을 무렵, 어느 겨울날 올가는 어린 동생들을 데리고 서커스에 가서 공연하는 유인원들을 보러 갔습니다. 메치니코프는 바닷가에 있는 자기 오두막에서 혼자 남아 있었습니다. 어쩌면 이 갑작스러운 고요함이 그의 사고를 더 깊이 잠기게 했는지도 모릅니다. 결국, 그의 앞선 발견자들이나 이후의 과학자들 역시 평소의 일상에서 벗어나 조용한 시간을 가질 때 가장 위대한 통찰을 얻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니까요. (덧붙이자면, 시칠리아의 시라쿠사(Syracuse)에서 아르키메.. 2025. 7. 31.
치쿤구니야 열병, 어떻게 대응할까? 백신이 있지만, 걸렸을 때 조심할 것들 원래 지금 중국에서 유행하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렇다고 걱정할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일부 기사에서 치쿤구니야가 백신이 없다는 식으로 제대로 알지 못하고 기사가 나와서 글을 포스팅합니다. 글쓰면서 생각이 바뀌니까, 중간 중간이 서로 몇가지 이슈가엉켜있어서 글이 복잡하네요. 일단 백신은 개발되었지만, 국내 허가를 받지는 않아서 백신이 없다고는 할 수 있는 상태이고 국가별로 위험한 사람이 먼저 접종 받겠죠. 그렇게 생각한다면 너무 걱정할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치쿤구니야 열병: 낯설지만 점점 가까워지는 바이러스 감염최근 몇 년 사이, 모기를 매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 질환들이 점점 우리에게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뎅기열, 지카바이러스에 이어 이제는 ‘치쿤구니야(Chikungunya)’라는 이름도 뉴스에.. 2025. 7. 30.
전 세계 갑상선암 과잉진단 추이 최근 수십 년 동안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갑상선암 진단 환자 수가 급증했지만, 사망률은 거의 변하지 않은 현상이 확인되면서 ‘과잉진단(overdiagnosis)’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갑상선 암으로 진단받은 사람중 사망자는 0.1~0.3%에 불과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은 1993년부터 2011년 사이 갑상선암 진단 환자가 약 15배 증가해 세계 최고 수준이 되었는데, 증가한 환자 대부분은 크기 1cm 미만의 유두암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를 포함해 미국·유럽 등 선진국에서도 초음파와 CT 등 검진 장비 확대에 힘입어 미세갑상선암 진단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국제암연구소(IARC) 보고(2024)는 2013–2017년 전 세계 63개국에서 갑상선암 진단 환자 약 1,73.. 2025. 7. 30.
바리 항구의 겨자 가스 비극과 최초 항암제의 탄생 폭격 전야: 고요 속의 긴장1943년 12월 2일 밤, 이탈리아 바리 항구는 연합군의 물자 수송으로 북적였습니다. 항구는 24시간 내내 불을 밝히며 과부하 상태로 운영되고 있었고, 주변 마을 주민들은 이러한 상황이 독일군의 기습 공격에 취약하다고 우려했습니다. 실제로 독일 정찰기들은 폭격 이틀 전부터 바리 상공을 반복적으로 비행하며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영국군은 독일 공군이 이미 패퇴했으며, 이렇게 남쪽 깊숙한 곳까지 공격할 수단이 없다고 판단하여 방공망을 허술하게 유지했습니다. 근처에 영국 공군 기지도 없었고, 대공포도 최소한의 수량만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이 항구에는 연합군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가져온 대량의 겨자가스 폭탄을 싣고 있던 미군 수송선 'SS 존 하비(SS John Ha.. 2025. 7. 29.
식민지 인도에서 온 목화가 유럽의 염색산업을 발전시키고 최초의 합성의약품이 만들어지기 까지 19세기 산업혁명 시대, 유럽의 방직 공장은 식민지에서 들여온 값싼 목화를 원료로 대량의 면직물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 열강은 인도와 미국 남부 등지의 광대한 목화 재배지로부터 목화를 수입하여 방적 공업을 급속히 발전시켰습니다. 면직물은 이전까지 귀족들의 비단이나 모직에 비해 값싸고 실용적인 옷감으로 각광받았고, 중산층과 서민층까지 폭넓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새하얀 면직물에 색을 입히려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당시까지 색깔을 내는 염료는 자연에서 얻는 것에 의존했기 때문에 색상 선택이 제한적이고 가격도 비쌌습니다.초기의 염료는 쪽풀에서 얻는 인디고 블루, 꼭두서니 뿌리에서 추출한 앨리자린 레드, 동남아와 남미에서 나는 코치닐의 심홍색 등 자연산 물질들이었습.. 2025. 7. 28.